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귄터 그라스의 소설을 원작 중 일부를 영화화한 작품이다. 영화의 배경은 독일에 단치히다. 단치히는 폴란드와 독일 사이의 자유도시로 시작해 두 국가의 분쟁 사이에서 파란만장한 역사를 가진 도시다. 영화에는 삼각관계로 등장하는 인물이 있는데 아그네스, , 알프레드는 각각 단치히 원주민, 폴란드, 독일을 상징한다.

 

이야기는 3살에 스스로 성장하기를 멈추고 양철북으로 자신의 저항성을 표현하는 오스카의 시점으로 내용을 전달한다.

 

이야기는 오스카의 이야기로 전개 되기 때문에 다소 믿기 어려운 판타지스러운 면이 있는데 이러한 설정을 통해서 뉴저먼 시대를 대표하는 영화답게 사회비판, 표현주의의 회귀, 상징이 잘 드러난다.

영화 초반부의 등장인물들의 대사 중

이제 평화로운 날이 올 수 있을까? 두고 보면 알겠지?”

라는 말이 있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역사를 이미 알고 있는 우리의 입장에서 영화를 보면 안타까운 대사 중 하나이다.

 

영화에 오스카는 어른들의 사회에서 환멸과 혐오를 느낀다. 그러나 오스카의 저항은 양철북으 두드리는 것으로 끝난다. 그러나 때때로 그러한 소극적 저항은 나치의 행사를 무도회장으로 만들기도 한다.

 

개인적으로 옷카라는 등장인물은 정말 이해할 수 없는 인물이지만 안쓰러운 감정이 많이 들었다. 아이가 부조리한 것을 너무 많이 보고 성장하는 모습, 엄마를 잃고 할머니의 치마속에 숨어들어가는 모습에서 연약한 존재에 대한 연민이 느껴졌다.

 

어쩌면 우리 모두 소극적 저항을 할 수 밖에 없는 연약한 소시민이기에.

 

영화에 전체적으로 그로테스크한 장면이 많이 있다. 심약한 사람은 주의를 요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