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주식 전망(세계 경제 전망 및 미국 증시 전망) - 원인분석-2. 석유 전쟁(유가 하락 )

 

두 번째 원인은 원유 전쟁입니다.

 

원유 가격이 배럴당 60에서 최근 15~20까지 떨어졌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하락한 원유의 가격은 당분간 회복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석유값이 떨어진 것이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셰일 가스와 석유 전쟁>

 

떨어진 석유값이 문제가 되는 이유와 떨어진 석유값은 실물경제가 망가진 지표중 하나라는 시각이 있습니다 전쟁의 시작은 이권 다툼이였으나 세계 실물 경제의 위기까지 겹쳐서 증시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입니다.

 

원유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면 원유가 필요한 사람이라면 오히려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원유 가격이 수요와 공급이 아닌 의도적으로 떨어진 거라면 이야기가 다릅니다. 원유는 현대 원유 생산국이 공급량을 줄이지 못하는 이유로 가격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중동의 사우디아라비아가 석유 감산을 합의 하지 못했습니다. 오히려 더 많은 석유를 생산해서 주도권을 가져 오려고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19센트라는 가격에 경우가 팔린 기록까지 나왔다고 합니다. 치킨 게임이 시작된 것입니다.

 

사우디와 러시아가 합의를 하지 않는 이유는 일단 러시아가 발단 이었습니다. 러시아는 경쟁국인 미국의 셰일가스(석유를 추출하는 공법) 방법의 원류 산업을 무너뜨리려 하고 있습니다.

 

셰일가스로 석유를 만드는 방법이 배럴당 25의 비용이 든다고 합시다. 그렇다면 배럴당 20인 현재 원유 가격에는 미국의 셰일가스 기업들은 석유를 생산할수록 적자를 보는 구조인 것입니다.

 

러시아는 수익을 포기하고 원유를 증산해 미국의 셰일가스 석유 기업을 무너뜨릴 생각입니다. 사우디는 석유 감산을 하고 싶지만 그렇게 될 경우 세계 원유 시장에서 러시에 주도권을 넘겨 주게 됩니다. 이는 차후 석유 전쟁이 끝난 뒤에 사우디에게 기회가 오지 않을 수도 있다는 말입니다. 비슷한 가격이면 보통 거래처를 잘 바꾸지 않으니까요. 때문에 사우디는 현재 세계 원유 시장의 주도권, 점유율을 위해 물러서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제조, 화학, 실물 경제>

 

그런 상황에서 세계 실물경제의 위기가 겹쳤습니다. 제조업은 약화되고 공장은 생산을 멈추고 실업자가 나오고 있습니다. 서유를 사용할 곳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때문에 수요가 없는 석유는 더 가격이 내려갈 수밖에 없습니다. 유조선에 기름을 가득 채워놓고 사가야 할 곳을 찾아야 하는데 아무도 사지 않는 상황입니다. 갈 곳 없는 유조선만 쌓이고 이제 기름을 넣을 유조선도 부족한 상황이 되었다고 합니다.

 

, 유가 하락은 실물경제의 위기를 보여주는 것과 더불어 미국의 세일가스 산업이 무너지는 위험한 상황을 만들고 있는 것입니다. 다른 곳도 아니고 미국의 에너지 사업이 무너지는 것은 분명 미국 정부에 큰 타격이 될 것입니다. 미국이 경제가 힘들어지면 그 이후 우리나라의 경제도 타격을 받을 것은 분명합니다.

 

우리 증시의 특이점 중 하나는 미증시가 오른다고 반드시 오르는 것은 아니지만 미 증시가 떨어지면 동반 하락하는 모습을 항상 보여 왔습니다.

 

이후 유가가 과거의 가격을 회복하기 전까지 셰일가스 산업의 회복을 기대하기는 힘들 것이고 경제도 많이 흔들릴 것입니다. 물론 미국 정부가 이런 상황을 보고만 있지는 않겠지만 우선은 현재 증시 상황에 가장 큰 위험 요소입니다. 이미 셰일 가스 기업체 하나가 파산 신청을 했다는 기사를 확인 했습니다. 미국은 현재 중재를 선언한 입장이고 라시아와 사우디 역시 더 이상은 증산은 아낳겠다고 선언 했으니 안정을 찾으리라 예상합니다.

 

<그 외>

 

세 번째 원인으로 코로나19를 다루려 했으나 코로나로 인한 실물 경제 위협은 다루지 않겠습니다.

 

코로나는 자연 재해 느낌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우리 경제에 큰 타격은 맞으나 개인의 역량으로 예측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코로나를 기회로 여기는 마음도 가지고 싶지 않습니다. 코로나를 다루려면 감염자 수, 사망자 수를 말씀 드리는데 숫자로만 계산하고 이야기할 거리는 아니라 생각됩니다.

 

다만 코로나가 확진자가 전세계적으로 크게 번지고 있습니다. 어느 정도 종식되기 전까지는 그 여파가 지속적으로 있을 것이라고만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실물경제의 분명한 악재입니다.

글을 보시는 분들도 건강과 안전, 거리두기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향후 주식 전망(세계 경제 전망 및 미국 증시 전망) - 현재 상황 분석-3. 세계 증시, 다우지수, 코스피, 삼성전자

 

이렇게 다뤄 보겠습니다.

 

향후 주식 전망(세계 경제 전망 및 미국 증시 전망) - 원인분석-1. 팽창과 수축

https://prudens-ripple.tistory.com/68

 

1편입니다. 혹시 안보신분은 의견 공유 부탁드립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