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사관학교 면접 준비

 

아래 내용은 모두 육군사관학교에서 제공한 2020 선행학습영향 평가 보고서를 바탕으로 제작 되었습니다. 해당 보고서를 링크하겠습니다. 육사홈페이지 보고서 게시물 링크입니다.

https://www.kma.ac.kr:461/kma/2100/subview.do?enc=Zm5jdDF8QEB8JTJGYmJzJTJGa21hJTJGMTYwJTJGNTc3MiUyRmFydGNsVmlldy5kbyUzRnBhc3N3b3JkJTNEJTI2cmdzQmduZGVTdHIlM0QlMjZiYnNDbFNlcSUzRCUyNnJnc0VuZGRlU3RyJTNEJTI2aXNWaWV3TWluZSUzRGZhbHNlJTI2cGFnZSUzRDElMjZiYnNPcGVuV3JkU2VxJTNEJTI2c3JjaENvbHVtbiUzRHNqJTI2c3JjaFdyZCUzRCVFQyU4NCVBMCVFRCU5NiU4OSUyNg%3D%3D

 

1. 출석인정결석

- 면접시험 대상자 확인증을 학교 선생님께 제출하여 출석인정결석 하여야 합니다. 접수한 유웨이 어플라이에서 면접확인증이 출력 가능합니다.

 

2. 면접 평가 요소

- 선행학급평가 보고서를 기준으로 교과와 무관하고 선행학습 유발을 최소화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 면접시험 위원은 교수(현역, 군무원) 및 훈육요원 등으로 편성되어 있습니다. 실제 육군 사관학교 관련 실무자가 선발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만큼 실제 여러분에 대해 면밀히 파악하려고 하는 의도가 보입니다. 진실된 모습을 잘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면접 세부 사항

아래 내용중 코로나19로 인해 집단토론은 2021학년도에는 실시하지 않습니다.

분야

평가 중심

비고

집단토론

의사소통능력

비교과 또는 기타

구술면접

국각관 및 안보관

학교생활

학교생활기록부 확인

 

선행학습

평가

미해당

자기소개

지원동기

 

외적 자세

신체 기본자세 및 균형

 

심리검사

심리적 안정성

다면적인성검사

표준화 인성진단검사

성격5요인 검사

종합판정

일관성 및 특이사항 확인

 

 

- 집단토론

집단 토론에서 가장 조심해야 하는 것은 상대방을 이기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토론을 통해서 얻으려 하는 것은 심층적사고, 논리력이지만 이것이 반드시 상대방을 찍어 누른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이러한 것도 중요하지만 집단 토론에서 평가하고자 하는 가장 중요한 점은 토론하고 경청하는 자세와 의사소통능력입다.

경청하고 대화하는 자세를 보겠다는 뜻은 간단 합니다. 상대방의 의견을 들은 뒤 상대방에 의견에 적절하고 합리적인 반박, 자신과 같은 의견에 보충, 첨언을 통한 보조 능력이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결국 토론은 대화를 통해 더 합리적은 방안을 찾아 나가는 것으로 나만 잘났다는 방식의 토론은 역효과를 불러일으킵니다.

반대 의견을 포용하고 자신의 의견을 개선하고 개진하는 능력을 잘 보이시길 바랍니다.

 

- 구술면접

주어진 제시문을 이해하고 논리성, 국가관, 안보관, 역사관을 확인합니다. 지문을 요약해서 지문에 주어진 내용의 핵심 주제를 빠르게 파악하고 본인의 의견을 정리해야 합니다. 먼저 주어진 지문의 주장을 정리하고, 해당 의견에 동조나 반대 의견을 세우며 논리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술면접에서는 담당자가 압박 질문을 하나씩 던지기도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자신의 논리를 무너뜨리지 않는 정도로 유지하고 압박 질문을 포용, 반박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구술 지문을 읽으며 반박 질문에 대한 예상해 보시기 바랍니다.

 

- 학교생활

학교 생활기록부 기반 면접으로 생활기록부의 신뢰성 제고를 위해서 확인하는 수준의 면접입니다. 부담 가지지 말고 자신에 생기부에 있는 내용을 잘 설명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 자기소개

작성한 자기소개서, 지원동기를 기반으로 하는 내용임. 학생의 기본적인 지원 사실을 확합니다. 특히 육군사관학요에 대한 진학 의지 및 지원 동기는 언제나 필수적인 내용이라고 생각하고준비해야 합니다. 다만, 이 내용도 크게 부담을 느끼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 외적자세

신체 기본자세 및 균형 등을 살봅니다. 어슬렁거리는 자세, 바르지 못한 태도가 아니면 특별하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 심리검사

심리적 안정성, 기본적인 태도나 인성 등을 확인합니다.

 

- 종합판정

앞에서 나왔던 기존 질문이나 특이사항을 확인한다.

 

4. 과거 기출문제(14~16)

- 3금 제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 지원 동기는?

- 군대내 가혹행위에 대하여(28사단)

- 도덕성과 군내 명령간의 선택(베트남전 양민 학살)

- 군에 대한 비판여론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

- 리더십 관련 질문

- 군문화가 맞지 않는다면?

- 만약 일반 대학에 지원할 경우 지원할 학과는 무엇인가?

- 학과 선택 이유를 다섯 가지 정도로 중요도에 따라 말해보라

- 게임의 긍정적, 부정적 특면

- 자기의 성격, 특징, 가치관 자신에 대해 논하라.

- 주한 미군에 대해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

- 한미 동맹 관계에 대해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

- 장교로서 갖춰야 할 덕목은?

- 악천우 속에 자기 부대원들이 훈련을 하면서 불평불만을 하고 있을 때 대처는?

- 자신의 장단점

- 군부대 안에 자살에 관해서 본인의 생각, 장교로서 자기 부대원 중 한명이 자살로 인한 상담을 요청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되나?

- 만약에 상관이 자기에게 부당한 명령을 내렸을 때 어떻게 할 것인가?

 

 

<2020학년도 기출> : 선행학습영향평가 참조

- 수능의 정시 확대에 대한 이야기(평등의 문제)

- 주한 미군 방위비 분담금 이슈에 대한 지원자의 의견

 

 

5. 2021 예상 문제 만들기

<2021 예상문제-(1)>

코로나 펜데믹 관련(개인 및 군인의 자유 제한 어느 정도 까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구내식당 테이블 한쪽의 의자를 다 치우고 마주보고 식사를 하지 못하게 조치를 한 회사들에 대한 소식이 전해졌다. 직원 중 누군가 한명이라도 확진 판정을 받으면 직장을 폐쇄해야 하고 확진자와 밀접 접촉자들도 자택 격리가 되니 회사 입장에서는 이러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필요한 조치라고 판단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조치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구내식당을 이용하지 않으면 그만이다.

그런데 좀 더 나아가서 예를 들어 확진자가 발생되지 않은 어떤 회사에서 선제적인 대응을 한다는 명분하에 재택근무를 의무화한다거나 구내식당을 아예 폐쇄하는 등의 조금 더 강력한 조치들을 시행한다고 하면 어떤가? 예를 들어, 공공기관 건물에서 결혼식을 비롯한 미리 예약한 행사들을 일방적으로 취소하고 금지하거나 공무원이나 공립학교 교사들의 개인적인 사교 활동들을 전면적으로 금지하는 조치를 시행한다면 과연 정당한지를 생각해 보게 된다.

처음으로 돌아가서 벽을 보면서 혼자서 밥을 먹는게 아니라 마주앉기가 아닌 나란히 앉아서 식사를 할 수 있으면 괜찮고 더 나아가 바로 옆에는 앉을 수 없게 사이사이의 의자를 다 빼버리고 결국 혼자서 밥을 먹어야 하거나 정말로 벽을 보고 먹어야 하거나 구내식당이 아닌 곳에서는 먹을 수 없게 규제를 한다면 적절한 것인지까지도 생각을 하게 된다. 어느 정도까지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인가? 된다면 되는 이유는 무엇이고 안된다면 안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J. S Mill은 그의 저서 자유론에서 "개인은 오직 타인과 관련된 부분에만 사회에 책임을 진다. 자신만 관련된 부분에서 개인의 독립성은 절대적이다. 자신의 신체와 정신에 대해서는 그 자신이 주권자이다." 라고 주장을 한다. 타인과 관련된 부분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과도하게' 나의 자유를 침해당한다면 (내게 용기가 있다면) 저항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럴 용기가 없다면 마음 속으로라도 그렇게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결국 과도하다는 것이 어느 정도이냐 하는 '정도'의 이슈로 돌아오긴 했으나 내게 충분한 선택권이 주어진다면 과도한 것은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군인이라고 해서 사적인 모임을 무조건 갖지 말라고 하는 것은 사퇴나 징계를 달게 받는 것 이외에 다른 정상적인 선택을 할 수 없으므로 과도하다고 볼 수 있는가? 그 사적인 모임이 감염의 위험성을 크게 높여 결국 타인에게 해를 끼칠 것이라는 증거가 없다면 말이다.

정부나 조직의 입장에서는 개인의 자유와 선택권을 보호하기 보다는 인과관계가 명확하지도 않고 가능성이 희박함에도 불구하고 발생 가능한 위험을 줄인다는 명목으로 공공의 이익을 내세워 충분한 선택권을 부여하지 않는 방식으로 개인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이 훨씬 손쉽다. 이러한 정부나 조직의 시도에 대해서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고 따르기 보다는 그러한 조치가 과연 정당한지를 따져보는 것이 필요하고 정당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용기가 있다면 저항을 하고 정히 용기가 없다면 최소한 다른 이에게 그러한 조치를 따르기를 강요해서는 안 될 것으로 생각된다.

[토론]관련 문제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제시하고, 상대방의 의견에 대하여 평가하시오.

[구술]주어진 지문을 읽고 지문의 의견을 요약하고 지문의 의견에 대한 지원자의 의견을 간략히 약술하시오.

 

 

<2021 예상문제-(2)>

N번방 사건과 관련해서 SNS등 개인 혹은 군인의 사생활 어디 까지 감시할 것인가?

20205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 위원회 n번방 방지법으로 불리는 전체회의를 통해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을 통과시켰다. 통과된 법안은 국외 사업자도 법의 규정을 받도록 하는 역외규정 신설’, ‘인터넷 사업자는 붕법 촬영물 등 유통방지 책임자를 지정’, ‘인터넷 사업자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자는 방송통신위원뢰에 매년 투명성 보고서를 제출등의 내용이 담겼다.

 

n번방 방지법의 주내용은 네이버나 카카오의 인터넷 사업자에게 디지털성범죄 의무를 부과하는 법안이다. 충분한 사회적 논의 없이 이런 법을 졸속처리하는 것은 빅브라더 사회로 향하는 길일 수도 있다.

 

헌법 제 17조 모든 국민은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를 침해받지 아니한다. 18조 모든 둗민은 통신의 비밀을 침해받지 아니한다.

 

라는 내용과 같이 이런 사전 검열 방식의 법안은 위헌이라고 생각한다. 역외적용 규정을 넣었다고 하지만 집행력과는 별개이기에 해외에 서버를 둔 텔레그램과 같은 해외 사업자들은 이 규제가 제대로 적용되지 않을 확률이 높다고 한다. 선생님 역시 n번방 사건 처벌 청원에 동의하였고, 이 일이 엄중히 처벌되기 바라지만 이런 식의 법안은 좀 더 폭넓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토론]관련 문제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제시하고, 상대방의 의견에 대하여 평가하시오.

[구술]주어진 지문을 읽고 지문의 의견을 요약하고 지문의 의견에 대한 지원자의 의견을 간략히 약술하시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