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P 시즌1 후기(구교환, 정해인 주연, 한준희 연출) - 넷플릭스

대한민국 성인 남성의 의무인 군대를 기반으로 탈영병과 탈영병 잡는 헌병인 DP를 통해 대한민국 사회에 명백한 메시지를 전하는 드라마다. 작지만 치밀한 설정이 많아서 몰입감이 잘 유지되도록 했으며, 개그의 요소도 많아 지루하지 않게 볼 수 있다.

영화 장면 중 메시지를 가장 직접적으로 말하는 대사는 안준호(정해인)의 어머니에게서 나온다. 군인들도 결국 우리의 가족이기 때문에 이러한 어머니의 대사가 더 울림이 컸다. 영창 근무에서 환영으로 보게 되는 안 도와주고 왜 그러고 있어?’라는 대사, 탈영이 엄청난 범죄가 아닌 살려는 몸부림이라는 것을 말해주는 탈영한 애들도 딱한 애들이다.’라고 말하는 두 대사가 영화의 주제를 잘 말해 주었다.

특히 영창 근무에서 가정폭력의 상황에서 나온 안 도와주고 왜 그러고 있어?’라는 대사는 우리 사회가 가정폭력, 성폭력, 아동폭력의 심각함처럼 군대에서 폭력도 심각한 것이며, 도움이 필요한 것임을 말하는 것으로 느껴졌다. 영화 시작에서 나오는 아이의 성장 모습은 군대에서 폭력을 당하는 병사들도 아직 어리고 평범한 사람임을 잘 보여주는 장치로 생각된다.

이러한 표현의 절정은 조석봉 일병이다. 조석봉 일병은 전직 유도 유망주로 사람을 때리는 게 힘들다고 유도를 그만둔 선한 천성을 가진 사람이다. 미술학원에서 따뜻한 감성을 통해 학생들을 도와주며 봉디(조석봉 간디)라는 별명을 가졌으나, 군대에서 평범한 사람이 악에 차오르는 변화를 보여주며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군대의 가혹행위 장면을 보며 많은 전역자가 PTSD를 느꼈다고 한다. 그러나 언제나 현실은 더 가혹한 법이다. 실제 더 잔인하고 참혹한 것이나 적절하게 방송용으로 순화한 것이 더 많았을 것이다. 이런 것을 보면 탈영 문제는 탈영병 한 사람의 잘못이 아닌 군대 내에 그릇된 계급, 잘못된 상명하복 문화가 원인이라 말한다.

또한 군대에서 생긴 문제는 군대에서 끝나지 않는다. 이는 사회에 나와서도 문제가 된다. 군대 PTSD 문제 그리고 그 이후에도 이러한 문제가 계속해서 문제 된다. 폭력은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에게 상처와 흔적을 남기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방향을 바꿔서 가는 안준호의 모습이 우리가 할 행동을 알려 주는 것 같다. 가만히 따라 가는게 아닌 뭐라도 바꾸려면 뭐라도 해야지.’라는 대사처럼 방관하지 않는 변화의 행동이 필요하다. ‘그래도 되는 줄 알았다.’라는 대사처럼 모두가 당연시 하던, 무관심 하던, 방관하던 것을 멈추고 변화의 동력을 일으켜야 할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625때 사용하던 수통과 같던 군대를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경제적으로 힘든 사람들은 군대에서 탈영을, 돈 많은 사람은 입영 자체를 하지 않는 대비되는 연출은 더 극적인 요소를 만들어 준 것 같다. 후반부의 5, 6화가 약간 늘어진 느낌도 있으나 설정도 잘 잡혀 있고 생각도 많이 하게 되는 드라마였다. 시즌2를 기대해 본다.

 

+ Recent posts